채혈 시기
혈액성분은 운동, 식사, 정신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아 채혈은 일반적으로 아침 공복 시에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러나 부득이한 경우에는 적어도 식후 2시간 이후에 하도록 합니다. 격렬한 운동 후에는 휴식을 취하고 채혈을 하며,
동일한 환자가 같은 검사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같은 시각과 같은 조건 하에서 채혈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01.
검사항목에 적합한 검체용기를 준비합니다.
02.
여러 종목의 검사(전혈, 혈청, 혈장 등 사용)를 위하여 동시에 채혈할 때는 채혈량을 미리 계산해두어야 합니다.
03.
정해진 용기에 각각 분주해야 하며, 미량의 혈청이 필요한 경우에도 한 용기당 최소 2-3mL의 혈액을 넣어야 합니다.
04.
검체용기에 환자 정보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기하고 바코드를 부착합니다.
미세한 응고와 용혈방지를 위해 일반 주사기 보다는 진공채혈관으로 채혈을 권장합니다.
모든 혈액검체는 채혈 후 즉시 검사실에 운반하여 바로 검사하거나 혈청분리 후 검사에 따라 적합한 조건으로 보관합니다.
채혈 후 튜브를 필히 8~10회 inverting하여 항응고제와 혼합되도록 합니다.
Step. 01
혈액배양 용기
Step. 02
Sodium-citrate tube
Step. 03
SST
Step. 04
Heparin tube
Step. 05
EDTA tube
Step. 06
NaF tube
용혈(Hemolysis) 방지를 위한 주의사항
응고(Clot) 방지를 위한 주의사항
채뇨 방법
단회뇨 (Random Urine, RU)
24시간 요 (24hours Urine, 24hU)
채취 방법
Stool 용기
Stool 용기
채취부분
단회 대변 (Stool)
24시간 대변 (24hours Stool)
채취 방법
뇌척수액 (Cerebrospinal Fluid, CSF)
뇌척수액은 무균적으로 시행되는 요추천자를 통해 얻어집니다.
검사의뢰 목적에 따라 3개의 무균 용기에 각각 3~5mL씩 차례대로 무균적으로 받아서 각각 화학/면역검사, 세균검사, 세포 수 산정 검사에 이용합니다.
첫번째 용기
화학, 면역학적
검사
두번째 용기
세균검사
세번째 용기
세포 수 산정 및
백혈구 감별검사
기타 체액 (Body Fluid)
흉막강, 복막강, 심막강에 존재하는 체액은 일회용 주사침으로 흡인 채취합니다.
관절액은 일회용 주사침으로 관절강을 천자하여 흡인 채취합니다.
세균검사 및 화학검사 시행 시, 항응고제가 무첨가된 멸균된 용기를 사용합니다.
세포 수 산정 및 백혈구 감별검사 의뢰 시에는 EDTA 용기를 사용합니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검체채취 후 즉시 검사실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