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SITEMAP
결핵 진단알고리즘 | |||
---|---|---|---|
작성자 | 홍보교육팀 | 작성일 | 2013-03-06 |
결핵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감염되는 만성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HIV, 말라리아와 더불어 심각한 전염병 중의 하나입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2009년 한해 동안 940만 명의 새로운 결핵환자와 130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하였습니다. 우리나라는 보건의료 수준의 향상과 사회경제적 발전으로 결핵환자 수가 많이 줄었지만 전체 국민의 1/3이 과거에 결핵을 앓은 적이 있거나 현재 결핵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2009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새로 발견되어 보고된 결핵환자 신환자수는 3만 5,845명,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2,292명으로 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결핵은 다양한 임상 소견을 보이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결핵이 의심되는 병변에서 얻은 검체로부터 항산균이 검출되고 결핵균이 동정되면 결핵으로 진단할 수 있지만, 결핵균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결핵균 배양검사의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임상 소견과 방사선 소견, 그리고 여러가지 검사 방법들을 종합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
첨부파일 |